본문 바로가기

채권&환율

달러 투자법, 안정성과 수익률 동시에 챙기세요

반응형

 

달러 투자

 

오늘은 달러 환율을 활용한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어떻게 투자하는 것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환율을 이용한 투자는 원화가 비쌀때 달러를 사고, 원화가 쌀때 달러를 팔아 이익을 챙기는 단순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환율은 변동요인이 너무 많고 우리나라와 미국의 경제여건과 정책이 어떻게 변할지 모르기 때문에 결코 쉽지 않은 투자 방법이기는 합니다.

하지만, 이런 환율 투자는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이 더디고 세계 경제가 불안하면 빛을 발합니다. 경제 위기는 발생하면 9시 뉴스에서 엄청 떠들기 때문에 평소에는 뭍어두고 신경쓰지 않고 있다가 사람들과 9시 뉴스에서 떠들때 그동안 뭍어둔 달러를 팔아서 이익을 챙기면 되는 투자라 자세히 알고 덤비면 쉽지 않은 투자이지만 잘 모르면 오히려 쉬운 투자가 될 수 있습니다.

본인이 굴리는 자산이 크면 클수록 일정부분을 달러로 바꿔서 리스크에 대비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지요.


그럼 재테크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이 쉽게 달러에 대해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외화예금
  • KODEX 달러 선물 ETF
  • SOFR ETF

첫번째 외화예금

먼저 가장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외화 상품은 외화예금입니다.
금리가 매우 낮아 1%대에 불과하나 수익에 대해서는 세금을 떼지 않으며 5천만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되기 때문에 접근성이 좋습니다. 게다가 달러 환전을 통해 얻은 금융소득에 대해서는 금융소득종합과세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돈이 많으신분들에게는 생각보다 괜찮은 투자처 입니다.
세금이 없는데다가 환차익으로 충분히 기다릴 수 있는 분들이 주로 투자를 하시기 때문이죠.

자 그럼 외화예금 상품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우리은행 - 우리 외화바로 예금

외화 투자 상품


스마트폰으로 가입이 가능하며 해외에서 사용 시 외화로 결제되는 체크카드 결제 계좌로 활용이 가능한 외화보통 예금으로 1인당 최고 5천만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됩니다. 이자는 매년 3, 6, 6, 12월 셋째주 토요일에 결산하여 다음날에 지급되며, 환율우대 50%가 되는 상품입니다. 별다른 특이점은 없고 이율은 1%입니다.

 

2024.02.24 - [분류 전체보기] - 고금리 예금, 나만 모르는 이자 더 받는 방법

 

고금리 예금, 나만 모르는 이자 더 받는 방법

예금과 적금을 가지고 이자를 더 받기 위한 노력은 안정적인 투자를 원하시는 분들에게는 반드시 필요하지요. 제 주변의 분들도 정말 많이 하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그런 분들을 위해 예금을

garammarusc.com



우리은행 - One 회전식 복리 외화예금

우리One 회전식 복리 외화예금


선택한 금리변동 주기 단위로 이자를 복리로 계산하고 장기 예치하는 경우 추가 이자를 제공하는 외화 정기예금 상품입니다. 예치 가능한 통화가 달러뿐 아니라 엔화, 유로, 홍콩달러 등 총 12개 통화로 예치가 가능하며, 변동 주기는 1, 2, 3, 6개월 중 택일로 하여 복리를 계산하여 이자를 주게 됩니다. 예치 기간은 12개월이상 36개월 이하로 가입이 가능하고 3월4일 기준으로 12개월 이상 가입 시 4.496%를 주는 상품입니다. 

 

현재 환율이 1,333원인데 상황이 변해서 환율이 더 올라가게 된다면 환율에 이자까지 받게되는 것이지요. 환율이 떨어진다고 해도 그 손해가 이자만큼 상쇄되는데 이게 무슨 말이냐 하면 환율이 1,333원에서 5% 떨어져서 1,266원이 된다고 하면 투자금 1천만원은 950만원이 되어 50만원의 손해가 발생하나, 이자가 44만 9천원이므로 실제 손해는 5천원 내로만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그만큼 버퍼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재테크 기초, 통장 쪼개기에 목적에 맞는 통장 추천

재테크를 하는데 있어 기본중의 기본인 통장 쪼개기. 여기저기서 정보를 듣다보면 여러개 통장을 둔다는 것은 알것 같은데 어떻게 통장을 쪼개는 지와 각기 쪼개는 통장은 어떤 통장으로 만드

garammarusc.com


우리은행 MMDA Plus

외화 MMDA Plus


MMDA는 Money Market Deposit Account의 약자로 한국말로 하면 수시입출금 상품입니다. 
매일 잔액에 대해 금액별로 금리를 다르게 적용하는 것이 특징인데요,
5천불 미만의 경우 0.88%를 1만불은 1.77%를 10만불 미만은 3.54%를 10만불 이상은 4.43%를 주는 상품입니다.

 

 

이외에도 국민은행, 하나은행에서도 외화 예금 상품이 있습니다.
국민은행에서도 역시 외화 예금 상품이 있고 정기 예금 상품의 경우 6개월 5.12%를 주며, MMDA 상품의 경우 10만불 이상은 4.43%, 50만불 이상 4.65%를 주네요. 우리은행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지만, 50만불 이상의 경우 조금 더 주는 수준입니다. 
하나은행에서는 6개월 이상의 경우 4.66%, 12개월의 경우 4.57%를 주고 있습니다.
이외 다른 시중은행에서도 외화 정기예금을 판매하고 있으나 1금융권에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으니 본인이 주로 거래하시는 은행에서 가입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출자금 배당금, 세금 없이 은행이자 보다 더 받는 쏠쏠한 이익

신협, 농협, 새마을금고 등 통장 개설할 때 필요하다고 해서 나도 모르는 사이 가입하고 넣은 출자금에서 배당금이 나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 배당금 또한 적지 않은 금액에 세금까지 없어

garammarusc.com


두번째로 KODEX 미국 달러 선물 ETF


환율에 대해 ETF로 투자하는 주식 계좌에서 편리하게 바로사고 팔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Risk를 감안하실 수 있다면 2배 레버리지 상품도 있습니다만, 그리 추천하진 않네요.

이 상품은 환율 변동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단기 차익이 위주의 상품으로 큰 돈을 투자해서만 의미있는 수익을 얻을 수 있고, 배당이나 분배금도 없는데도 불구하고 총 보수가 0.25%로 높은 편입니다. 게다가 매매 차익또한 배당소득세 15.4%를 과세하기 때문에 환차익이 목적이라고 하면 외화 예금이 더 좋은 상품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다만 목적이 단기간의 환율 변동에 대해 매매 차익을 위주로 하시는 분들이라고 하면 이 ETF 상품이 적합할 수도 있겠습니다.

 

 


마지막으로 SOFR ETF


SOFR은 Secured Overnight Financing Rate의 약자로 1일간의 미국 국고채를 담보로 하는 하루짜리 환매 조건부 채권(RP) 거래에 대한 단기 금리를 말합니다. 미국 연방준기기금 FED에서는 매일 이 SOFR의 금리를 공표하는데, 실제 거래 금리를 바탕으로 수익을 주기 때문에 무위험 금리로 불리고 있습니다. 

SOFR 금리 액티브


2018년 4월 처음 설정된 이후 미국 기준금리가 등락하는 구간에서도 꾸준히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연금계좌에서도 투자가 가능한 상품입니다. IRP에서는 70%까지 연금저축 계좌에서는 100%가지 투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SOFR의 금리는 5.31%로 은행 예금보다 훨씬 높게 받을 수 있으며 ETF 형태로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환금성도 좋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ETF에서 달러를 기반으로 투자하므로 별도의 환전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다만 SOFR ETF는 생긴지 얼마 안되었고, 실제 거래량이 많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때 큰 돈을 한꺼번에 환전하려고 하면 환매가 잘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그래도 작년 출시 이후 꾸준히 늘어가고는 있기 때문에 실제 장기적으로 보면 괜찮은 투자 상품이 될 수 도 있겠습니다.


지금까지 외화 투자 상품 3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달러 투자는 금리보다는 환율의 변화에서 차익을 얻는 투자 방법입니다.
그래서 단기적으로 투자를 하기 보다는 우리나라가 돈을 잘 벌고 있을 때 차근차근 달러를 모아두었다가 세계 경제에 그림자가 드리울 때 다시 한국돈으로 바꿔서 재투자를 하는 방식으로 투자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외화예금이든, 달러 ETF든 SOFR이든 그 Tool은 본인이 편한 것을 선택하시면 되고, 환율이 올라갈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중요한 것이죠.

투자는 참 어려운 기다림인것 같습니다. 모두들 성공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