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투자

금 투자, 언제 해야 수익을 최대로 낼 수 있을까요? 매번 여러가지 자산에 대해 공부를 하지만 도대체 언제 투자를 해야 수익을 조금이라도 더 낼 수 있을까요? 경제 상황에 사람들의 심리, 각국이 처한 정치적인 상황 등 고려해야 할 사항이 너무도 많기 때문에 한가지 공식에만 넣어서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투자 자산이 상승했던 시기를 분석해 보면 그 시기를 알 수 있지 않을까요?이번 포스팅부터는 각기 투자 자산이 역사적으로 상승했던 시기를 분석해 보고 현재 투자해도 될만한 시기인지 판단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그 첫번째 시간으로 금 입니다.1. 역사적인 금 투자 성공 시기2. 현재 시점 기준 투자 적정성 판단1. 역사적인 금 투자 성공 시기1970년대 금은 1970년대는 투자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자산이었습니다. 미국의 닉슨 대통령의 금.. 더보기
금 투자 3, 투자 시기 판단 지난번 두번의 포스팅을 통해서 금값의 변동 요인과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이번에는 실제 지표를 확인해서 현재 금을 투자해도 될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실질금리를 통한 투자 시기 판단2. 금의 슈퍼 싸이클3. 추세추종 (RSI) 기반 판단4. 달러 Index를 통한 금 투자 적기 판단 실질 금리를 통한 투자 시기 판단 금값의 변동요인은 금의 공급량, 중앙은행의 금 매수, 기준금리의 변동, 인플레이션과 환율 이렇게 다섯가지를 말씀드렸는데, 이중 기준 금리의 변동과 인플레이션은 실질 금리라는 이름으로 하나의 지표로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실질 금리란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뺀 지표인데, 예를 들어 중앙은행의 금리가 3%인데, 물가 상승률은 5%를 기록한다고 하면 실질금리는 마이너스인 .. 더보기
금 투자 2, 금 투자 방법 24년 한해가 시작한지 이제 3개월이 되었는데, 금값은 1월대비 벌써 7%를 올라 사상최고치를 뚫고 있습니다. 그만큼 관심을 받고 있다는 이야기 인데, 투자의 한 꼭지로 가져가고 계신가요? 금은 이자를 받을 수없는 투자 상품이지만, 눈에 보이는 가격과 오래전부터 어르신(?) 분들 혹은 현재도 금을 좋아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그런지 여전히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금은 달러나 주식과 마찬가지로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있는데, 옛날부터 화폐의 기능했기 때문에 실제 거래도 비교적 쉬운 편이며, 요새는 실물을 직접 거래하기 보다는 금 거래 통장이나 ETF를 통해 투자의 한 방법으로 활용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습니다.금 투자를 위해 살펴보아야 할 내용들은 지난번 포스팅에서 살펴보았으니, 아직 안보고 오신 분들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