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산관리

은퇴 자금, 돈 걱정 없는 노후 얼마나 필요할까?

반응형
적정 은퇴자금

 

 

돈 걱정 없는 노후를 보내기 위해 얼마나 필요할까요?


경제적 자유, 즉 낙원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는 수준은 얼마나 있으면 될까요? 사람마다 그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우리나라 평균 수입을 살펴보면 되지 않을까요? 2019년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중위 소득 수준은 월 234만원입니다. 지금은 약 5년 정도가 지났으니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다면 대략 270만원 정도 될것 같습니다.

평균값은 고소득자들의 수입으로 인해 데이터가 왜곡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1등부터 꼴등까지 키 순서대로 세워서 딱 중간에 있는 값을 선택하는 중위 소득을 기준으로 하면 270만원 정도라는 이야기 입니다. 그것도 세전 기준로요.


나이에 따라서 벌어들이는 소득 금액도 달라지기 때문에 나이대별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금액대를 보면 10대는 85만원 미만, 20대는 150~250만원 미만, 30대는 250~350만원대가 가장 많고, 의외로 40대나 50대도 150~250만원 미만 수준이 많네요. 60대를 넘어가면 85만원 미만이 많습니다.

생각보다 우리의 소득이 많지 않은 것 같네요. 

물론 평균 소득으로 하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19년도 기준 30대의 평균 소득은 335만원이고, 40대는 381만원입니다. 
23년에 발표된 보건 복지부 자료를 기준으로 중위소득을 보면 1인가구 소득은 207.8만원이고 4인가구인 경우 540만원 정도 되네요. 

자 이제 필요한 돈의 수준은 알았고 필요한 돈을 기준으로 일하지 않고 먹고 살기 위해서는 얼마가 필요할 까요?

노후에 Flex한 삶을 보내기 위해 필요한 금액은 얼마나 될까요?

 

Flex의 기준 또한 다르겠지만, 대략 년 사용 금액 (연봉이 아닙니다) 기준으로 순수 금융자산 기준 25배가 필요합니다.
월 100만원을 소비하는 사람은 년 기준으로 1,200만원이 필요하니 여기에 25배 즉 3억원이 있다면 4%의 원금보장 상품이 있다고 하면 먹고 살 수 있다는 이야기 입니다. 필요한 돈이 500만원이라고 하면 25억원의 돈이 필요합니다.

좌절하고 싶네요. 저렇게 큰 돈을 언제 다 모을 수 있을까요?

우리에게도 방법은 있습니다. 바로 국민 연금, 개인 연금, 배당금 등을 활용하는 것이죠. 

자세한 것은 앞으로 차차 설명드리겠습니다만, 앞에서 이야기 한 500만원을 어떻게 채울지 한번 고민해 보겠습니다.

나에게 필요한 돈이 500만원이라면 연금을 받게 되는 시기 (만 65세)가 되면 내가 불입한 금액을 기준으로 연금을 받게 됩니다. 사람마다 불입하는 금액이나 기간 수준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100만원 정도라고 가정하면 필요한 금액은 400만원으로 줄어듭니다. 

거기에 개인 연금을 가지고 계시다면 그 금액만큼 줄어들게 되겠지요. 
이 또한 사람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 연말정산을 모두 받는 금액을 기준으로 이야기 하면 600만원을 넣는다고 하고 년 4% 이자를 받는 상품에 가입하여 20년을 지났다고 하면 1억 4천 600만원 정도 됩니다. 이를 은퇴 후 25년 (만 80세)까지 매년 800만원을 연금으로 받는다고 하면 400만원에서 67만원이 차감되어 333만원이 필요합니다. 



퇴직금을 가지고 계시다면 여기서 필요한 금액이 또 차감 되게 됩니다. 이 또한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기준을 알 수는 없지만, 아까와 마찬가지로 20년이 지나서 3억원의 퇴직금이 있다고 하면 월 100만원을 차감할 수가 있습니다. 
그럼 퇴직금과 국민연금, 개인연금 이 세가지를 가지고 최소한의 생활 비용은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물론 물가 상승률을 감안한다고 하면 당연히 많이 부족한 금액이기에 연금이외에 배당금, 투자 등은 필수로 진행해야 합니다.

 

일 안하고 먹고 사는 것이 생각보다 참 힘드네요.
하지만 이렇게 본인이 가지고 있는 연금 상품과 배당금, 국민 연금 등을 모두 제하고 나면 비로소 내가 월 얼마 씩을 벌어야 하는 지를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됩니다.

무엇보다 첫걸음이 중요합니다.
먼저 본인이 가입되어 있는 각종 상품을 종이에 모두 적어 보시고, 현재의 월급이 어떻게 입출금 되는지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그러면 비로소 노후에 얼마가 필요한 지가 보이실 겁니다.


자 이제 종이를 꺼내시고 한번 해보실까요?
반응형